1. 가상화의 정의와 그 의미
IT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하여는 HW 자원(resource)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SW상으로 구현하여 활용하는 것
가상화 기술은 이미 실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HW 기술의 발전
- 유동적인 서비스 운영과 리소스 예상의 어려움 증가 증가
- 사용되지 않는 HW 자원의 증가
- 가상화 SW 안정화와 인식 대중화
- 통합 관리의 필요성
가상화를 적용하게되면 HW 리소스 활용 증가 및 유동적인 HW 성능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오류 발생 시 또는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영향범위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가상화는 그 대상에 따라 여러가지 가상화로 구분되며 각 항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서버 가상화
실제 서버(HW)에 각각의 독립적인 가상머신을 구현하여 마치 각각의 서버가 있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하나의 HW로도 다수의 OS 및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수의 HW로도 통합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때 가상머신을 SW로 구현하는 개체를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라고 하며 HW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Bare-metal 방식, OS 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Hosted 방식이라고 구분합니다. Bare-metal hypervisor의 예시로는 HW에 OS처럼 바로 설치하는 VMware ESXi가 있으며 Hosted의 예시로는 OS에 설치하는 VMware workstation이 있습니다.
3. 데스크탑 가상화
서버 가상화 구현 후 각각의 가상머신이 하나의 PC 역할을 수행합니다. 윈도우 Active Directory와 연동하여 사용자 및 보안 정책 관리가 가능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마치 각 사용자에게 PC가 할당된 것과 같은 개념으로 이용 할 수 있습니다.
4.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PC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중앙 저장소(서버)에 위치시키고 사용자 요청 시 실시간으로 사용자 PC또는 모바일 장치에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여 실행합니다.
5. 스토리지 가상화
이기종을 포함한 각 스토리지 HW 장비를 논리적인 Storage pool로 구성 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6. 네트워크 가상화
서버 가상화와 같은 개념으로 SW를 이용하여 가상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상 L2스위치는 아주 대중화되어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으며 L3 스위치의 라우팅 기능, L4 스위치의 로드밸런싱 기능 뿐 만 아니라 방화벽과 웹방화벽 기능같은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를 가상화 할 수 있습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USB 간이 NAS 설정 방법 (1) | 2020.09.14 |
---|---|
Synology NAS기반 WordPress 설치 및 설정 #2 (0) | 2020.09.08 |
Synology NAS기반 WordPress 설치 및 설정 #1 (1) | 2020.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