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신입 및 초보를 위한 네트워크 IP, Subnet 및 Gateway 간단 정리

by IT4us 2020. 9. 8.

[이런 분은 패스]
1. 네트워크 구성도를 보고 플로우를 이해할 수 있는 분
2. TCP/IP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를 보유한 분
3. 충분한 경력의 IT 인프라(특히 네트워크!!) 엔지니어
4. 네트워크에 대한 경험이 이미 충분한 개발자
5. 그냥 네트워크에 관심이 없는 분

 

[이런 분은 환영]
1. 강의나 검색을 통하여 들어봤는데 긴가민가 한 분
2. 공유기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본 분
3. IP를 이용해서 무엇이든 해본 분
4. 이론적으로 복잡한 것보다는 간단하게 이해해 보고 싶은 분

 

1. 개요

위의 내용에서 어느정도 눈치챌 수 있지만 아주아주 간단하게 정리할 예정이므로 다른 글이나 정보와의 융합으로 이해를 권장

 

2. IP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정의나 의미는 생략하고 간단하게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로 이해
예를 들어 광화문의 주소는 서울 종로구 사직로 161 이며 광화문을 찾아가기 위하여 저 주소를 사용
네트워크에서 유튜브의 IP는 현재 기준으로 216.58.220.110 이며 유튜브를 찾기 위하여 이 IP를 사용

 

3-1. Subnet

네트워크는 일정한 장비들을 연결시켜주며, 같은 대역에서는 IP보다 낮은 단계에서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없이 서로간에 IP 통신이 가능
하지만 한 대역에 너무 많은 장비가 연결되면 서로간의 트래픽이 발생하므로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환경에 맞는 대역 할당이 필요
따라서 아래라는 의미의 접두어인 sub를 network와 결합하여 subnet이란 단어를 쓰며 이 subnet을 통하여 각 네트워크 대역을 분리

 

3-2. 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

주어진 IP 주소가 어느 네트워크 대역인지를 설정 혹은 명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마스킹 개념
다시말해 IP와 서브넷마스크가 있다면 어느 IP 범위까지가 같은 대역인지 판단 가능
(주로 24비트인 255.255.255.0이 친숙할 것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진행)

 

4. Gateway

한 네트워크 대역에서 IP통신으로 다른 대역 및 대상으로의 통신하기 위해서는 연결 통로가 필요하며 이를 Gateway라고 정의

 

5. 이해를 돕기위한 예시

가정에서 가장 쉽게 접할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는 공유기
예를 들어 공유기에 PC와 인터넷 TV가 유선(LAN)으로 연결되어있고 스마트폰이 wifi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

(빨간선이 외부로 연결해주는 케이블이고 파란선은 네트워크 연결을 의미)

위와 같이 공유기와 연결된 PC에서 시작메뉴 > 실행 > cmd > ipconfig 입력을 통하여 자신의 IP와 서브넷마스크, Gateway를 확인 가능

위의 내용만으로 알 수 있는 정보
1. PC의 IP는 192.168.0.100
2.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 이므로192.168.0.0부터 192.168.0.255까지가 이 네트워크의 subnet
(참고 : 192.168.0.0은 이 네트워크의 주소가 되며 192.168.0.255는 broadcast 인데 어려우면 일단 이 두 IP는 사용하지 않는다고만 이해하고 패스)
3. Gateway 는 192.168.0.1인데 외부 통신을 위한 Gateway IP이자 우리가 바라보는 공유기의 IP – 공유기 관리하고 싶은데 IP를 모를때는 이렇게 확인도 가능

 

6. 마무리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다보니 각 부분, 특히 서브넷 마스크와 대역에 설명이 부족한데 요청이 있다면 추후 글 작성을 하거나 보강 예정
혹시 어느정도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이 있는데 서브넷 계산 및 확인이 필요한 분은 아래 링크 활용을 추천

[서브넷 계산기 링크]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UDP 포트 오픈 확인  (0) 2020.10.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