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OS : CentOS 7.5
커널 버젼 : 3.10.0-862.el7.x86_64
Disk : OS 설치된 디스크 1EA(20GB), 추가 디스크 3EA(10GB, 20GB, 30GB)
1. LVM 정의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물리적인 디스크(H/W)를 OS단(S/W)에서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유동적으로 사용
2. 개념
• PV(physical volume, 물리 볼륨) : 실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물리적인 볼륨 단위로 정의
• VG(volume group, 볼륨 그룹) : 여러 개의 PV를 그룹으로 묶은 것
• LV(logical volume, 논리 볼륨) : VG를 다시 적절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눈 각 파티션
3. 파티션 설정
3-1. Disk 정보 확인
3-2. 물리 디스크를 파티션으로 구성
• n : 새로운 파티션 생성
• p : 기본 파티션으로 4개 초과시에는 e(extend)로 설정해야 함
• 1 : 해당 디스크 내에서의 파티션 넘버
• 빈칸은 디폴트 정보 입력
• t : 속성 변경으로 여기서는 Linux LVM에 해당하는 8e로 입력 - 다른 속성값을 보고 싶을 때는 L(대문자)로 확인 가능
• w : write의 약자로 저장에 해당. 저장하지 않으면 적용되지 않음
• 원하는 경우 디스크의 일부만을 파티션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
• 위의 스크린샷은 /dev/sdb 디스크에서 sdb1 파티션을 구성한 방식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sdc, sdd에서도 1번을 가지는 각각의 파티션 생성
3-3. 확인
4. PV 생성 및 확인
• pvcreate 명령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pv 생성
• pvscan은 전체 pv를 간략하게 보여주며 상세 정보 확인을 원할경우는 pvdisplay 명령어를 활용
5. VG 생성 및 확인
• vgcreate 명령어와 함께 생성할 vg의 이름(vg1)과 이 vg에 포함할 pv를 입력하여 vg를 생성
• vgscan은 전체 vg를 간략하게 보여주며 상세 정보 확인을 원할경우는 vgdisplay 명령어를 활용
6. LV 생성 및 확인
• lvcreate 명령어와 함께 -L 옵션으로 생성할 LV의 크기, -n 옵션으로 LV의 이름(lv1, lv2)을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이 lv를 생성할 vg의 이름(vg1)
• lvscan은 전체 lv를 간략하게 보여주며 상세 정보 확인을 원할경우는 lvdisplay 명령어를 활용
• lvcreate 과정에서 vg의 남은 용량을 모두 할당하고 싶을 때는 -l 100%FREE 옵션을 사용
'Server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닉스, 리눅스 공통]Tcp Wrapper 설정 - 부제 : 특정 대상 ssh 허용/차단(ACL) (0) | 2020.10.25 |
---|---|
리눅스(CentOS, RHEL) LVM 설정 #2 (0) | 2020.10.12 |
CentOS 8 Bonding 설정 - 8 버전 전용 (0) | 2020.10.03 |
Centos 8 Bonding 설정 - 6,7 방식 응용 방법 (0) | 2020.10.03 |
댓글